Go together

If you want to go fast, go alone. If you want to go far, go together.

Data Engineer 취업 준비

네이버 클라우드 뉴스 정리

NowChan 2022. 3. 20. 21:52

성남시-네이버 클라우드,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협약

2022.03.16 15:59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의료 데이터 중심 병원 컨소시엄 의료기관이 네이버 클라우드로 데이터 제공)→ 의료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바이오헬스 기업들이 이를 이용하게 하는 것이다. 

데이터 비식별화, 표준화가 관건

 

성남시는 사업비 15억을 지원(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16_0001795815&cID=10806&pID=10800)

 

출처 : http://www.gvalle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02161

 

‘클라우드’ 춘추전국시대…내달 1일 KT·NHN 분사

2022-03-16 11:49:27 

 

IT 기업들이 DX(디지털전환) 사업의 일환으로 클라우드 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 KT, NHN 클라우드사업 분사법인 4/1에 출범 예정
  • 삼성 SDS도 클라우드 전문 기업으로 변신하고 있음. MSP (클라우드 컨설팅·구축·운영 End-to-End 서비스) 사업을 강화중 - 클라우드 전문가 수요 ↑
  • CJ BaaS는 클라우드 환경에 해킹에 대응하기 위한 데이터 보호 서비스 사업 추진 계획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 AWS, MS, 구글이 80% 이상 장악.

해외기업 참여가 힘든 공공·금융 분야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확산으로 국내 클라우드 기업 수요↑

 

출처 :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3161144176030288 

 

돌아온 한성숙, 네이버 유럽 진출 이끈다

2022.03.16 18:09

 

한 대표는 유럽 사업 기회를 발굴할 예정이다. 우선 전자상거래 플랫폼 '스마트스토어' 글로벌화에 주력할 가능성이 높다. 스마트 스토어는 중소형업체(SME)가 온라인 창업을 할 수 있도록 편의 기능, 빅데이터 분석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유럽 국가에 스마트스토어 관련 기술이 수출되는 전략이 예상된다. 프랑스에서는 유럽 IT 및 R&D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독일에 네이버 클라우드 유럽도 운영 중이다.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203161809420686

 

한성숙, 네이버 대표 물러났지만…존재감은 오히려 더 커졌다 [강경주의 IT카페]

2022.03.19 10:59

 

한경숙 네이버 대표가 네이버 유럽사업개발 대표로 선정되었다. 네이버를 검색·지식  → 커머스·콘텐츠·AI 중심으로 키웠던 경험을 살려 유럽 시장을 넓힐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스페인 중고거래 플랫폼(왈라팝)을 인수했다. 한 전대표는 네이버가 글로벌적으로 개성·친환경·가성비를 중시하는 Z세대를 겨냥해 장기적 글로벌 성장을 도모하는 마일스톤(이정표)가 되도록 검토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출처:https://www.hankyung.com/it/article/202203184755g

 

네이버클라우드 "AI 접목한 IoT 기기 개발 쉬워진다"

2022/03/15 14:04

 

네이버클라우드는 소형 디바이스에 IoT 디바이스 허브(클로바 기반 음성제어 및 연결성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를 이용하면 네이버 클로바 스마트홈에 집약된 기술을 쉽게 활용할 수 있다.

 

이는 네이버 계열사인 마크티에서 개발한 SoM 칩에서 이용 가능하다. SoM칩은 클로바 스피커 및 램프 등 스마트 기기에 쓰인다. SoM에는 클로바 SDK(소프트웨어 개발 키트)가 탑재돼 음성, 모바일 앱 제어, 와이파이·블루투스 같은 통신 및 클라우드 연결까지 한 번에 구성할 수 있다. SoM칩을 탑재한 디바이스는 네이버 클로바 디바이스, 클로바 앱과 연동된다. 

 

네이버 클라우드는 스마트 디바이스 설계, 개발, 제조, 운영 등 IoT 서비스에 필요한 모든 과정을 심플랫폼과 협업을 통해 원스톱으로 제공한다.

 

출처: https://zdnet.co.kr/view/?no=20220315094317 

 

네이버웍스 사용자 수 5.3배 증가... 1대 1 영상회의 17배 껑충

2022-03-20 08:00:00

 

네이버 웍스의 데이터를 이용해 네이버 클라우드가 '코로나19 이후 일하는 방식의 변화' 데이터를 공개했다. 네이버 웍스는 네이버 클라우드가 한국, 일본에서 선보인 클라우드 기반의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업무 협업 툴이다. 메시지, 캘린더, 주소록, 메일, 드라이브, 화상회의 등 기업이 필요로 하는 협업 기능을 웹, 앱에서 모두 탑재했다. 

 

네이버 웍스는 모바일인덱스 자료에 따르면 국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협업 툴이다. 1인 당 월 평균 사용일수는 아래와 같다.

  1. 네이버웍스(16.5일)
  2. 잔디(16일)
  3. 두레이(15.7일)
  4. 카카오워크(15.5일)
  5. 하이웍스(14.0일)
  6. 플로우(13.9)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220317507397?OutUrl=naver 

 

네이버클라우드, AI 해커톤 운영 패키지 솔루션 선봬

2022-03-18 오전 11:19:52

 

네이버클라우드가 AI 해커톤 운영을 위한 시스템 구축 ~ 컨설팅까지 패키지로 제공하는 솔루션을 선보일 계획이다. 핵심은 AI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만들어 관련 문제를 풀고 싶어하는 기업들이 AI 해커톤을 쉽게 개최하도록 돕는 것이다. (마치 Kaggle 같이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20566632264632&mediaCodeNo=257&OutLnkChk=Y

 

IT서비스 업계, 인력 절반 클라우드 전문가로···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2022-03-20 17:00

 

IT 서비스 기업이 50% 가까운 인력을 클라우드 전문가로 양성하려 한다. 삼성 SDS의 T2는 Talent Tranformation으로 직무에 관계없이 누구나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 사업을 수행 가능한 전문가로 양성하는 것이다. SK C&C 사의 TTT는 Train The Trainer로 클라우드 전문 기술 개발자 교육 프로그램이다.

 

출처: https://www.etnews.com/20220318000102

 

민간, 공공 기업에서 클라우드 전환이 빨라지고 있어서 이에 맞게 MSP로 변신을 시도하는 IT 기업이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출처: https://www.etnews.com/20220318000102

 

'인앱결제 시장 진출' 다날, 네이버클라우드 게임팟에 결제 서비스 지원

2022-03-16 11:47

 

네이버클라우드가 운영하는 '게임팟'은 게임 개발 SDK, 인증, 결제, 운영, 통계, 고객 지원 등 게임 운영 도구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게임팟 서비스가 적용된 모바일 게임에서 '다날'회사가 결제 수단을 단독으로 제공한다.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617242 

 

[단독] 네이버급 대우 약속한 KT클라우드...경영성과급 차별은 '아쉬움'

 2022-03-14 16:15

 

코로나19 이후 클라우드, IDC 사업이 호황기를 맞아 국내(네이버, 카카오), 해외(구글, 아마존, MS) 기업의 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KT는 IT 직군의 처우를 국내 최고인 네이버클라우드 수준까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KT는 클라우드, IDC(인터넷 데이터 센터)에 집중할 것이다. KT는 클라우드·IDC 부분에서 작은 규모로 빠른 의사결정, 투자 유치 등을 위해 KT 클라우드로 분사했다.

 

출처:https://www.ajunews.com/view/20220314155640041

 

[단독] 클라우드 분사 앞둔 KT, 이어지는 내부 반발

2022년03월16일 18:21

 

KT의 클라우드·IDC 분사에 대해 내부 직원의 클라우드 사업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글이 많이 올라왔다. 분사를 하는 이유, 사업 전략의 부실 등이 주된 불만이다. KT 클라우드 진급 대상자 과장이 전원 퇴사했다는 내부 사정을 전했다. 구현모 현 KT 사장은 디지털플랫폼기업(Disico 디지코) 전환을 선포하며 정체기를 맞이한 통신 사업을 기반으로 새로운 먹거리인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업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클라우드 업계 관계자는 공공시장은 네이버, KT, NHN 삼파전으로 갈 텐데, 이를 위해선 초기 대규모 투자와 신속한 의사결정을 위해 위 기업들이 분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KT는 클라우드 사업 분사에 대해 내부 직원들의 공감대를 이끌어 내지 못했다. KT가 클라우드 시장 점유율, 솔루션 등에서 경쟁력이 떨어져서 직원들이 사업성에서 의문을 품고 있다고 전했다. 

 

출처: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20316000823

 

'메타버스 확장' 잇딴 지분투자…카카오 스타일 성장

2022-03-21 13:58:21

 

네이버제트가 사업 강화를 하기 위해 지분 인수에 나섰다. 네이버제트는 아시아 메타버스 1위 플랫폼 제페토를 운영하고 있다. 메타버스 관련 기술을 가진 업체들의 지분 인수를 통해 사업 시너지를 내려는 구상이다.

 

네이버는 콘텐츠가 핵심인 웹툰엔터, 네이버클라우드, 네이버랩스는 네이버 지분율이 100%로 자체 자금을 활용했다. 반면 네이버 제트는 외부 투자를 적극적으로 유치했다. 향후 기업공개(IPO)도 가능할 것 같다. 네이버는 본사 외 계열사 IPO를 진행한 바 없지만, 네이버제트가 글로벌 시장을 타깃으로 하고 있는만큼 투자 포인트가 확실하다.

 

출처: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03171109473240105716&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IT기업, 클라우드 서비스 주도권 경쟁 치열

2022.03.15 17:39

 

윤석열 정부가 공공분야 민간 클라우드 도입을 적극 장려하는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을 공약으로 내세운 만큼 업계 기대감은 크다. 업계 관계자는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사업은 아마 방향이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며, KT, NHN 등이 클라우드 사업을 분사한 것도 공공시장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서비스 특성상 한번 구축하면 바꾸기 힘들기 때문에 민간 클라우드 도입 후 지속적인 서비스 이용이 예상된다. 

 

네이버, 카카오, 삼성, LG 등도 클라우드 사업에 투자하고 있다. 삼성 SDS, LG CNS는 AWS와 협력을 통해 국내, 글로벌 시장 확대에 나선다. 업계 관계자는 클라우드 시장은 AWS, MS, Google이 대부분 차지하고 있지만, 디지털 전환 가속은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 자리잡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출처: http://www.enew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55235 

 

'80년대생' 최수연 신임 대표가 이끌 네이버 3년은?

2022.03.15 00:00

 

이번 인사는 조잭쇄신, 글로벌 진출이라는 과제를 안은 네이버의 절실함이 담긴 결정으로 평가된다. 인적 자원이 중요한 IT 업계의 특성상 조직관리는 경영진의 핵심 역량이다. 최 신임 대표는 네이버만의 기업문화를 회복하는 것을 당면 과제로 보고있다고 인터뷰했다. 

 

글로벌은 네이버가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사업 목표다. 지난 20여년간 끈임없이 해외 시장의 문을 두들여 라인, 웹툰, 스노우, 제페토, 웍스모바일 등 다양한 글로벌 서비스를 안착시켰다. 소프트뱅크, 왓패드, 왈라팝 등 글로벌 파트너와 손을 잡았고 네이버클라우드를 통해 글로벌 인프라를 구축했다.

 

최 신임 대표는 네이버 사내에서 글로벌 브랜드를 계속 만들어 가도록 노력할 것이고, 다양한 사업 영역들에서 이러한 시도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열 정부는 플랫폼 기업 규제에 대해 '필요할 때 최소규제'를 제시한만큼 플랫폼 산업에 대한 기대가 크다.

 

출처: http://news.tf.co.kr/read/economy/1924299.htm

 

네이버클라우드, 클라우드 랜섬웨어 대응 가이드 공개

2022/03/07 09:45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박원기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위험 증가로, 렌섬웨어 대응 가이드를 발간했다. 이번 가이드는 보안 담당자, 보안 전문 지식이 부족한 개발자 등 모두가 랜섬웨어 위협 요소를 파악, 이에 따른 대응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실제 사례를 수록하고 대응책 단계를 예방 - 탐지 및 대응 - 백업 및 복원 3단계로 구분해 단계별 액션 플랜을 제시했다.

 

출처: https://zdnet.co.kr/view/?no=20220307093936 

 

 

엔비디아 GTC 2022서 발표한 네이버, 초거대 AI 활용 사례 강조

2022년 3월 25일

 

세계적인 AI 개발자 컨퍼런스 '엔비디아 GTC 2022'가 열렸다. 이 컨퍼런스에서 네이버 클로바 MD에 탑재된 하이퍼클로바 기술이 사용자들의 최근 관심사를 분석해 기획전에 포함될 상품 선택과 마케팅 문구를 자동으로 생성한다고 설명했다. 네이버 선물하기에도 AI가 선물 메시지 혹은 선물을 추천하는 기술이 추가된다.

 

네이버는 파트너 사의 AI 도입을 돕는 데 하이퍼클로바 기술을 활용하고 있다. '클로바 메시지 마케팅 솔루션'은 마케팅 메시지의 대상 고객을 선별하고 트렌드에 맞는 마케팅 문구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서비스이다. '클로바 케어콜'을 통해 독거 노인의 건상 상태를 확인하는 것도 돕고 있다. 

 

더 많은 사람들이 AI 기술을 비즈니스에 활용하도록 no code AI 도구인 클로바 스튜디오도 제공한다. 클로바 스튜디오를 기반으로 각 기업은 자체적으로 보유한 데이터를 활용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클로바 스튜디오는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일부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베타 서비스를 진행 중이다.

 

출처: https://byline.network/2022/03/25-195/

 

 

티맥스티베로, 클라우드 최적화 기능 더한 티베로7 선봬

2022.03.24 11:33

 

티베로 7 DBMS(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이 출시되었다. 티맥스 사가 20년간 축적해돈 데이터 솔루션, 클라우드 기술의 노하우를 집대성해 만든 것이라 밝혔다. AWS, MS, KT,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 등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CSP)에서 티베로7을 사용할 수 있다.

 

KT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공유 디스크 기반 액티브 클러스터 기능인 '티베로 액티브 클러스터(TAC)' 기능을 국내 최초로 퍼블릭 클라우드 내에서 구현하며 핵심 업무 적용을 위한 고가용성과 성능을 입증했다.

 

출처 : http://it.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3/24/2022032401221.html

 

 

분당 떠나 강남에 둥지 트는 KT클라우드...개방·확장성에 초점

2022-03-09 12:00

 

클라우드 사업이 성공하려면 고객과 클라우드 관리 파트너(MSP)들에게 지속해서 신기술에 대한 교육을 제공하며 소통해야 하는데, 기존 분당은 대면 교육, B2B 영업에 불리한 입지 조건이라는 것이다.

 

KT 클라우드는 지속적인 외부 파트너 제휴와 국내외 투자 유치를 통해 AI, 클라우드 사업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KT 클라우드 IDC에 AI의 두뇌인 초대규모 GPU 팜을 구축하고 내년엔 구글, 엔비디아, SK텔레콤(사피온)처럼 자체 AI 반도체를 만든다는 계획도 세웠다.

 

출처: https://www.ajunews.com/view/20220309053852377

-

 

[넘버스]챗봇 필요한 분, 우리 클라우드로 오세요…카카오·네이버·KT의 '플랫폼' 전략

2022-03-01 15:05:02

 

클라우드 기반의 플랫폼 챗봇 서비스를 통해 CSP는 단골 고객 확보와 꾸준한 매출을 얻을 수 있습니다. 도입하는 기업은 기업의 상황에 맞는 최적화된 챗봇을 구현받고, 꾸준한 유지보수와 업데이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미래에는 고객이 문의를 하지 않아도 먼저 고객에게 필요한 사항을 예측해 제안하는 서비스로 고도화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챗봇의 대화 형태도 텍스트 → 음성, 이미지, 영상으로 고도화될 것이라 예측했습니다.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2202280221, AICC(인공지능 콘텍트 센터)

출처: https://www.bloter.net/newsView/blt202202280221

 

 

네이버·LG·KT ‘5G 특화망’ 관심…시장 열릴까

 

2022-04-04 14:44:31

KT는 5G 특화망 전담조직을 신설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참여를 위한 제안 준비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도 5G 특화망 사업을 독려하고 있다. 지난달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480억원을 투입해 5G 특화망인 ‘이음5G’ 초기 시장 창출에 나선다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가 5G 특화망 1호 사업자다. 네이버클라우드는 네이버 제2사옥 내에 자율주행 로봇을 운영하는 데에 5G 특화망을 활용한다. LG CNS가 두번째로 5G 특화망을 할당 받았다. LG CNS는 특화망을 스마트공장에 활용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화망은 기존에 통신사가 주도하던 망 구축ㆍ운영을 일반 기업이 직접 장비를 설치해 단독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이통 3사가 28㎓(기가헤르츠) 주파수 투자에 난색을 표해온 것도 정부의 5G 특화망 추진에 불을 붙였단 관측이다. 28㎓ 주파수를 사용할 경우 5G 속도를 더 높일 수 있지만, 도심에서 주파수 도달 거리가 짧아 투자 대비 효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정부가 기업의 B2B사업에 적합한 5G 특화망 확대로 ‘진짜 5G’로 불리는 28㎓ 대역 상용화를 꾀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처: https://www.dnews.co.kr/uhtml/view.jsp?idxno=202204041428001170225 

 

 

한근주 네이버클라우드 사업 오퍼레이션 총괄

2022.03.23

굴로벌 협업 도구 시장이 급격히 성정하고 있다. 코로나 19 상황이 이를 가속화 시켰다. 화상회의 협업 플랫폼 등을 경험하면서 업무를 위한 여러 기능의 연결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확대됐어요. 

하이브리드 근무 시대가 되고 MZ세대가 직장 실무진으로 영입되면서 대면 → 디지털 소통으로 변화했다. 이 과정에서 협업 도구가 보조수단 → 주류가 됐다. 기존에 국내 기업들이 쓰던 외국 서비스는 외국의 조직문화에 맞게 개발된 것이다. 최근 아시아 조직문화에 맞는 협업 도구가 호응을 얻고 있다.

네이버클라우드가 서비스하는 협업 도구 네이버웍스는 아시아 조직문화와 업무 스타일이 맞게 개발됐다. 일본에서 업무용 메신저를 중심으로 메일, 캘린더, 드라이브, 주소록 등의 기능을 통합했다.

아시아에서는 영업사원이 고객과 신뢰를 쌓는 것이 중요해 외근이 많은데, 모바일 협업 도구를 통해 공간·디바이스의 제약성을 극복했다.

협업 도구 시장은 기능적 지향점이 무엇이냐에 따라 서비스의 차별성이 있어요.(다국적 협업, 화상회의 솔루션, 개발자를 위한 협업 기능 ..) 네이버웍스는 모든 기능이 통합된 스마트워크 협업 솔루션을 지향한다. 고객사들은 연계된 기능들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편리성이 네이버웍스를 선택하는 이유라고 말한다.

“네이버웍스는 프로젝트 관리 등 고객사가 필요로 하는 시스템과 툴을 네이버웍스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API와 기술 문서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네이버가 대중의 포털 서비스라면 네이버클라우드는 기업을 위한 포털 서비스를 지향한다. 네이버웍스라는 이용자 접점 서비스의 중심에는 클라우드가 있고, 유기적인 연결성이 바로 스마트워크의 본모습이라는 것이다. 한 총괄은 협업 도구와 스마트워크의 미래상을 기존 잡무들의 자동화로 선정했다.

출처: 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35779

 

 

역시 '클라우드'가 대세…국내 MSP 기업 약진 [IT돋보기]

 

2022.04.04 15:28


클라우드 시장이 커지면서 클라우드관리(MSP) 기업들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MSP기업은 클라우드제공(CSP) 기업에 지급해야 하는 인프라 원가와 높은 인건비로 인해 적자를 면치 못했으나, 클라우드 시장이 커짐에 따라 메가존·베스핀글로벌 등 전문 MSP기업들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출처: https://www.inews24.com/view/1466958

 

 

네이버, 올해 50개 기업에 클라우드 인프라 공급


2022.03.30 14:12:03

네이버는 자회사인 네이버클라우드가 ‘2022년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에서 5개 부문 통합 인프라 공급 사업자로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핵심산업 클라우드 플래그십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추진하는 국가 사업이다.

올해는 디지털워크, 디지털헬스, 지능형물류, 스마트제조, 환경·에너지를 포함하는 총 5개 산업군의 인프라 기업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기업이 각각 10곳씩 참여할 예정이다. 

네이버클라우드는 5개 분야를 모두 수주하며 총 50개 기업에게 SaaS 개발에 최적화된 클라우드 인프라를 공급하게 됐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전문 수행 파트너인 디딤 365와 함께 수요기업이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밀착 협력한다. 디딤365는 서비스포털 개발이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SaaS 개발 특화플랫폼(서비스포털·회원관리·빌링 등 기능)을 제공하는 'SaaS 메이커'를 직접 개발했다.

출처: https://newsis.com/view/?id=NISX20220330_0001813665&cID=13007&pID=13100

 

 

[단독]삼성, 이음5G 1호 네이버에 장비 공급


2022-04-05 15:34


삼성전자가 네이버 제2사옥에 5세대(5G) 이동통신 특화망(이음 5G) 장비 공급업체로 선정됐다. 네이버 제2사옥에는 삼성전자 이음 5G용 '콤팩트 코어' 장비와 4.7㎓·28㎓ 대역 기지국 장비가 적용될 것으로 알려졌다.

4.7㎓ 대역을 위주로 구축할 경우 28㎓ 대역을 핫스팟으로 활용해 특정 장소에 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8㎓ 대역을 통해 5G망을 구축하고 4.7㎓ 대역을 앵커 주파수로 활용하면 사업장 전체에 초저지연, 초대용량 성능을 구현할 수 있다. 5G 단말 이동성 또한 보장된다.

출처: https://www.etnews.com/20220405000246

 

 

 

 


 

 

해야할 것

'Data Engineer 취업 준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ta Engineer 로드맵  (0) 2022.03.19